우당탕탕 개발일지
98일차_리눅스 1 본문
1. 리눅스 서버 접근
root (관리자) 계정으로 접근하면 # 으로 나옴
2. 계정 생성
이름: angel
리눅스 디렉토리 계층
리눅스 디렉토리 계층을 보면 home 안에 사용자 angel이 생긴다.
비밀번호 설정 및 접속
passwd 계정이름
계정 접속 및 삭제
계정 접속
su - 계정이름
계정 강제 삭제
userdel -rf 계정이름
계정 확인
cat /etc/passwd
3. 숨김 항목
숨김 항목 보기
ls -a
숨김 항목을 리스트 형태로 보기
ls -al
특정 항목 보기
와일드 카드도 사용 가능
4. 파일 보기
cat
cat 파일명
- 해당 파일 내용이 보임
cat -n 파일명
- 번호 붙여서 나옴
more 파일명
enter : 1줄 씩 보여줌
q : 빠져나가기
less 파일명
스크롤로 파일 내용 확인 가능
head 파일명
10줄 출력
tail 파일명
마지막 10줄 출력
5. 파일 복사
cp 파일명 복사장소
파일 여러개 복사하기
cp 파일명 파일명 붙여넣기장소
6. 파일 이동
mv 파일명 이동할경로
7. 디렉토리 삭제
디렉토리 삭제
- rm -r 파일명
디렉토리 강제 삭제
- rm -rf 파일명
[ 문제 ]
1. test 디렉토리 생성
2. test 디렉토리에 /etc/crontab 파일 복사
3. test 디렉토리에 crontab_link 하드 링크 만들기
4. test 디렉토리에 inode 확인하기 ( crontab 파일과 crontab_link가 같은 inode 이어야 한다.)
5. test 디렉토리에 crontab_slink 심볼릭 링크 만들기
6. test 디렉토리에 inode 확인하기 ( crontab 파일과 crontab_slink가 다른 inode 이어야 한다.)
7. test 디렉토리에 crontab_link2 하드 링크 만들기
8. test 디렉토리에 crontab_link2 삭제하기
9. test 디렉토리에 crontab_link2 가 삭제되고, inode의 값이 감소한 것 확인하기
'비트캠프 > 이론 및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99일차_리눅스 2 (5) | 2024.11.26 |
---|---|
91일차_[ Chapter04JPA ] JPA & Spring Boot (1) | 2024.11.25 |
89일차_JPA Join (1) | 2024.11.12 |
86일차_Thymeleaf (0) | 2024.11.12 |
88일차_JPA (0) | 2024.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