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당탕탕 개발일지

99일차_리눅스 2 본문

비트캠프/이론 및 정리

99일차_리눅스 2

ujin302 2024. 11. 26. 11:30
반응형

1. grep

텍스트 파일에서 지정한 패턴이 포함된 행을 검색

 

-i : 대소문자 구분하지 않음

-w : 단어 단위로 검색

-e : 여러 문자열 검색

-n : 문자열이 검색된 행 번호 출력

-r : 하위 디렉토리까지 검색

 

2. find

지정한 위치에서 조건에 맞는 파일 및 디렉토리를 검색

 

find /etc -name "cron" -ls

"cron" 이라는 문자를 가지고 있는 파일 출력

 

 

 

3. whereis & which

 

 

4. file

파일의 종류 표시

 

 

5. nano

 

6. shell

쉘(Shell)이란?

- 리눅스 커널과 사용자를 연결해주는 인터페이스
-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을 읽어 해석하고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인터페이스

 

쉘(Shell)의 기능

1. 명령어 해석기 기능
- 사용자와 커널 사이에서 명령을 해석하여 전달한다. (대화식 사용)

2. 프로그래밍 기능
- 일련의 명령어와 쉘 자체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Shell Script).

3. 사용자 환경설정 기능
- 리눅스의 세션 변수들을 정의하여 사용자가 리눅스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쉘의 종류

bourne shell 계열

1. sh (bourne shell)
- 1974년 'Stephen Bourne' (스티브 본) 이 개발한 최초의 쉘
- /bin/sh
- 대부분의 리눅스에 기본적으로 설치
- 스크립트를 지원

2. ksh (korn shell)
- 유닉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본 쉘을 확장한 쉘
- /bin/ksh
- 명령어 완성 기능, 히스토리 기능 지원

3. bash (bourne again shell)
- Linux 표준 쉘로 채택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쉘)
- /bin/bash
- 본셸을 기반으로 GNU 프로젝트를 위해 'Brian Fox' (브라이언 폭스) 가 작성한 쉘
- Linux, MAC OS X 등 다양한 OS에서 사용됨
- 명령어 완성 기능, 히스토리, 명령어 치환, 편집 등을 지원
- POSIX와 호환 가능

4. zsh (z shell)
- 확장형 본쉘, 콘쉘의 재작성 쉘
- /bin/zsh
- 강력한 history 기능
- 향상된 명령행 편집 기능

 

C Shell 계열

1. csh (C Shell)
- 본쉘의 사용성을 높인 쉘
- /bin/csh
- C언어의 특징을 많이 포함함
- 히스토리, 별명, 작업 제어 등의 기능 포함

2. tcsh (tc shell, tee-see-shell)
- csh의 기능을 강화한 쉘
- /bin/tcsh
- 확장 C쉘로, BSD 계열에서 가장 많이 사용
- 명령어 편집 기능 제공

 

 

7. 디렉토리 관련 정보

/bin
이것은 Linux의 기본 명령이 등록 되어 있는 directory 이다.
Linux 배포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Linux 라면 대체로 비슷한 명령어가 여기에 있다.

/sbin
관리 시스템 명령어
/bin 명령은 root or user 라도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지만,
/sbin 명령은 root 사용자 이외에는 보통 환경 패스가 걸려 있지 않으므로 default로는 사용할 수 없는 명령어 이다.

/usr/bin
/usr/bin은 /bin과 달리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명령어가 포함 되어 있다.


/usr/sbin
/usr/sbin는 관리 명령어 이다.

/usr/local/bin
/usr/local/bin은 스스로 설치한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소이다.
Linux 저장소에 있는 것 이외의 것을 설치했을 때나 자작 명령어를 보관해야 할 때 유용하다.

 

 

 

 

반응형

'비트캠프 > 이론 및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98일차_리눅스 1  (0) 2024.11.25
91일차_[ Chapter04JPA ] JPA & Spring Boot  (1) 2024.11.25
89일차_JPA Join  (1) 2024.11.12
86일차_Thymeleaf  (0) 2024.11.12
88일차_JPA  (0) 2024.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