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6 (4)
우당탕탕 개발일지

풀이처음에 입력값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했다....다른 블로그랑 GPT한테 물어보고 이해했다.... ㅎ테스트 케이스 개수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w,h와 지도정보를 계속 제공하다가 0 0를 만나면 프로그램 종료인 것이었다..! Queue를 활용하여 BFS로 풀었다. 현재 노드와 근접한 노드먼저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메인0 0을 만나면 프로그램 종료이기 때문에 while문으로 반복하다가 0 0일 경우 빠져나가도록 구현했다. 주어진 땅, 바다 정보 저장 후, 배열을 돌면서 미방문이면서 땅인 노드에서 findLand(x, y) 함수를 호출했다. findLand(x, y) 함수해당 함수에서는 매개변수로 주어진 x,y 노드를 기준으로 8방향의 노드를 확인한다. 위에서 언급했다 싶이 BFS로..

풀이사실 문제를 이해 못해서 다른 블로그를 엄청 많이 봤다...!예시1번에서 내가 생각한 정답은 '1 1 4 4 6 3' 이었는데 왜 '4 6 1 3 1 4'인지 이해가 안되서 한참 보았다. 블로그를 통해 문제를 이해하고 다시 문제를 보니 내가 놓친 부분이 보였다.각 노드의 부모 노드 번호를 2번 노드부터 순서대로 출력노드 번호가 2번인 부모 노드부터 n번인 부모 노드 번호까지 출력하라는 의미인게 이제서야 보였다... ㅎ 먼저 제시된 예시1 트리를 표현했다1. 각 노드와 연결된 노드를 저장2. 연결되어 있는 노드를 방문하면서 각 부모 노드를 저장하면된다.각 노드와 연결된 노드각 노드의 부모 노드노드, 1: 4, 6노드, 2: 4, 7노드, 3: 5, 6노드, 4: 1, 2, 7노드, 5: 3노드, 6..

풀이* 각 시도 모두 메인 부분은 동일하고 'findEarthworm()' 함수 부분만 변경함. 1차 시도1이 연결되어 있는 노드 끝까지 탐색 후, 옆 노드로 이동해서 끝까지 탐색함으로 깊이우선탐색알고리즘이라고 판단그래서 스택과 재귀를 활용하여 구현해야 겠다고 생각해서 아래와 같이 구현 현재 노드 기준으로 연결된 노드가 1이고 아직 방문하지 않았다면 해당 함수 재귀로 호출함수 호출되면 스택에 현재 노드 저장 후, while에서 하나 빼서 사용def findEarthworm(startY, startX): checkArr[startY][startX] = True nearNode.append([startY, startX]) # 앞뒤위아래 moveXArr = [1, -1, 0, 0]..

테스트 환경백엔드: Spring Boot (JPA 기반)프론트엔드: React (Vite + Axios)DB: MySQL상품 목록 API: /api/store?sortby=newest측정 도구Postman (1초 간격 반복)크롬 개발자 도구 Network 탭1. 문제점React로 만든 쇼핑몰 서비스에서 상품 리스트 페이지 진입 시, 데이터가 늦게 표시되며 체감상 4~5초의 지연...Postman으로 API를 직접 호출해보니 평균 응답 시간은 약 250ms.그런데 브라우저에서는 최대 700ms까지 응답 지연 된 부분이 이상하다고 느껴졌다.데이터 크기는 많지 않음에도 응답 시간이 들쑥날쑥Entity → DTO 변환 로직에 stream().map() 사용 중상품 조회 쿼리에서 복합 조건 WHERE is_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