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59)
우당탕탕 개발일지

1. NCP 사용 환경설정계정 정보 pom.xml NaverConfiguration.javaNCP 관련 설정 파일 기능 구현 2. 파일 업로드 Controller.java service.java 3. 파일 수정NCP Object Storage이미지 덮어쓰기 불가능Object Storage(NCP) 이미지 삭제 -> 이미지 업로드로직seq를 사용하여 imageFileName 값 추출Object Storage에서 해당하는 imageFileName 삭제imageFileName 새롭게 만들어서 파일 업로드DB 정보 변경 UserFileUploadServiceImpl.javaupdate()1. 파일 존재 유무 확인1-1. 파일 존재 O 파일 정보 설정NCP에서 파일 삭제NCP에 파일 업로드 후, fil..

1. Controller.java// 3. 다중 파일 처리: List @RequestMapping(value = "/upload", method = RequestMethod.POST, produces = "text/html; charset=UTF-8") @ResponseBody public String upload(@ModelAttribute UserFileUploadDTO userFileUploadDTO, // 파일 정보 @RequestParam("img[]") List imgList, // 업로드 파일 정보 HttpSession session) { // // [ 파일 객체 설정 ] // 실제 폴더 String filePath = session.getServletCon..

1. Interface - Mapper기존에는 아래 그림처럼 인터페이스의 구현체 DAOImpl를 통해서 mapper.xml 파일에 접근하였다. 이번에는 구현체를 통해서 xml 파일에 접근하는 것이 아닌, Interface가 바로 xml파일에 접근해보도록 하겠다. 설정mapper.xmlnamespace 속성 : DAO 인터페이스 root-context.xml1. mybatis-spring:scanMyBatis의 Mapper 인터페이스 스캔2. 트랜잭션 관리를 위한 설정 해당 설정은 어노테이션으로 가능하다. 아래 어노테이션이 위의 xml 파일에서와 같은 기능을 한다. 1. @MapperScan("user.dao")MyBatis의 Mapper 인터페이스 스캔2. @EnableTransactionMana..

요청 응답 관련 설정@ResponseBody반환값을 단순한 문자열로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어노테이션 1. @ResponseBody 사용 XSpring에서 String 반환값을 단순한 문자열이 아닌 view 파일 이름으로 인식 2. @ResponseBody 사용 O@ResponseBody 를 사용하면 Spring Framework가 String 반환값을 단순 문자열로 인식 @RequestMapping 한글 깨짐한글 깨짐 @RequestMapping 에서 produces = "text/html; charset=EUC-KR" 를 사용하면 한글이 안 깨진다. [ Spring Framework 실습 ]예제1: 다양한 방법으로 Data 주고 받기 프로젝트명: Chapter06_1 ..

[ MyBatis ]환경설정: pom.xml applicationContext.xml [ MyBatis 예제 ]예제1. XML 프로젝트명 : Chapter05_XML * 이전 시간의 프로젝트와 동일 Spring 환경 설정 파일applicationContext.xmlsqlSessionFactoryMyBatis의 SQL 실행과 매핑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 설정configLocation: MyBatis 설정 파일 경로를 지정mapperLocations: Mapper.xml 파일 위치 지정sqlSession다중 스레드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mapper.xml 파일의 sql문과 매핑SQL 작업을 간단하게 수행selectOne()insert()update()delete() tr..

[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 ]관점(Aspect) 지향 프로그래밍: 관점을 기준으로 다양한 기능을 분리하여 보는 프로그래밍 * 관점(Aspect)이란?: 부가 기능과 그 적용처를 정의하고 합쳐서 모듈로 만든 것 1. AOP의 목적OOP(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보완한 개념OOP에서는 핵심 비즈니스 로직이든 부가 기능의 로직이든 하나의 객체로 분리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객체의 기능을 나눠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느껴 나온 것이 AOP이다. 아래 사진과 같이 함수3개가 있다.함수1과 함수2는 입실, 퇴실이라는 공통 부분이 존재한다. 이를 공통 코드라고 부른다.또한, 수업과 카톡은 다른 부분이다. 이를 핵심 코드라고 부른다. 예시로는 DAO에서 모든 함수에서 드라이버 연결 후,..

1. InterfaceMessageBean.javapackage sample05;public interface MessageBean { public void helloCall();} Outputter.javapackage sample05;public interface Outputter { public void output(String message);} 2. ClassMessageBeanImpl.javapackage sample05;public class MessageBeanImpl implements MessageBean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phone; private Outputter outputter; public MessageBeanImpl(Stri..

BeanBean이란 자바의 객체와 같은 개념Spring에서 굳이 Bean를 사용하는 이유는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객체를 여러 번 만들지 않아도 되기 때문즉, 싱글톤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1번의 생성으로 동일한 메모리를 계속 재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를 아낄 수 있다. Bean 생성 방법 3가지1. XML 환경설정 파일 2. XML 환경설정 파일@Component 3. JAVA 환경설정 파일@Bean(name = "") public 클래스 클래스명() { return new 클래스;}* 해당 클래스에 @Component 필요없음 실습: 성적 계산1. XML 파일에 Bean 등록 아래 실습 내용은 bean의 사용목적에 대한 올바른 예시는 아니다.이번 실습에서는 arraylist를 ..